카테고리 없음

음료 및 커피 종류별 카페인 함유량은 얼마나 될까??

토커 2022. 2. 16. 09:06
반응형

커피는 인기 있는 음료고 아마도 가장 흔한 카페인 공급원일 것이다.커피의 카페인 함량은 종류, 양조 방법, 브랜드를 포함한 몇 가지 요인에 따라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커피의 카페인 함유량, 다른 카페인 공급원, 카페인의 하루 권장 섭취량, 그리고 부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일까??

 

음료 및 커피 종류별 카페인 함량은 얼마나 될까??

 

 

음료 및 커피 종류별 카페인 함유량은 얼마나 될까

커피의 종류에 따라 카페인의 양이 다르다.가장 일반적인 커피의 카페인 함량은 아래와같다.

브루잉 커피 (드립커피)

드립커피 또는 필터 커피라고도 불리는 브루잉 커피는 "커피를 끓이는 방법의 하나로 커피를 잘게 간 원두에 끓는 물을 부어 걸러 내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드립 커피란 "드립식 커피 끓이는 도구로 만든 커피"를 말한다.

브루잉



드립 커피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필터식 드립 커피이며 미국과 독일에서 애용되고 있다. 잘게 간 커피원두를 종이필터에 담은 뒤 뜨거운 물을 커피가루가 물을 머금고 살짝 부풀어 오를 정도로만 부어주는 방식이다.

 

약 230ml(8온스) 브루잉 커피 한 잔에는 일반적으로 약 95mg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

 

 

브루잉 커피 (드립커피) / 디카페인

디카페인 커피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카페인이 없는것은 아니고 아주 적은양의 카페인이 포함되어있다. 예를 들어, 평균 230ml(8온스)의 브루잉 디카페인 커피는 약 2mg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콜드브루(더치커피)

콜드브루란 영어로 Cold Brew로 즉, 차갑게 우려내다란 의미를 가진 커피로 일반적으로 커피는 뜨거운 물을 사용해 우려내게 되지만 찬물이나 상온의 물을 사용해서 오랜 시간에 걸쳐서 우려낸 커피가 콜드브루다. 더치커피라고도 불리며 더치커피는 동남아에서 생산된커피를 네덜란드로 운반하며 차가운물에 추출하던 방식에서 유래된데 따라 네덜란드의 또다른 이름인 더치에 커피를 붙여만든 일본식 명칭이다.

2017년 한 연구에서는 340ml(12온스)짜리 콜드브루 커피 한 잔에 153mg~ 238mg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인스턴트 커피

로부스타나 저품질의 아라비카 원두에서 커피 원액을 추출하고, 커피 원액을 원심분리기로 돌려 불순물을 제거하고, 열풍에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만든다. 마지막 건조과정에서 풍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동결건조 같이 열을 가하지 않는 건조법이 대중적이다.

카누


이런 종류의 커피는 인스턴트 커피 가루나 과립에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들게된다.

 

인스턴트 커피는 보통 일반 커피보다 카페인을 적게 함유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230ml(8온스) 컵의 인스턴트 커피는 약 62m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인스턴트 커피 별 스틱 1개당 카페임 함량

  카페인 함량(단위 mg)
맥스웰 하우스 오리지날 55.0
맥스웰 하우스 마일드 54.7
프렌치카페 43
맥심 오리지날 62.5
맥심 모카골드 마일드 42.5
네스카페 수프리모 49
맥심 아라비카 45
네스카페 모카 하모니 54.8
맥심 화이트골드 40

 

에스프레소 및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또는 카페 에스프레소(이탈리아어: caffè espresso)는 고압·고온 하의 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커피 가루에 가해 추출해내는 고농축 커피의 일종이다. 에스프레소의 가장 큰 특징은 드립 커피(거름종이에 내리는 커피)보다 농도가 짙다는 것이다. 같은 부피를 놓고 비교해 봤을 때 드립 커피보다 일정 부피 안에 용해된 고형체의 양이 많다.

에스프레소 추출

 

에스프레소 커피를 만드는 것은 기계나 모카 포트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에스프레소 ‘솔로 (1 샷)’의 카페인 함유량은 약 70mg이다. 에스프레소는 고온 또는 고압으로 20초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에 추출하기 때문에 카페인의 양이 다른 추출 방식보다 적은편이다. 에스프레소에 물을 섞어 만드는 일반적인 아메리카노의 경우 보통 2개의 에스프레소 샷과 물이 추가되므로 약 140mg의 카페인이 함유된다.

 

 

카페 브랜드별 아메리카노 카페인 함량.

 

스타벅스

에스프레소 커피 1샷에는 75 mg의 카페인이 함유된다. 아메리카노 메뉴에 따라 쇼트(Short) 237ml, 톨(Tall) 355ml, 그란데(Grande) 473ml, 벤티(Venti) 591ml로 컵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에스프레소가 1샷 추가된다. 따라서 각각의 카페인 함유량은 쇼트 사이즈 75ml, 톨 150ml, 그란데 225ml, 벤티 300ml가 함유되었다.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투썸플레이스

블랙 그라운드와 아로마 노트. 두가지 종류의 원두를 사용하며 에스프레소 2샷을 기준으로 블랙그라운드는 144.9 mg, 아로마노트는 168.6 mg이 함유된다.

 

메가커피

기본 아메리카노의 경우 에스프레소 2샷을 사용하며 메가 커피 메뉴는 3샷을 사용한다. 메가커피에서 공개하고있는 정보에 따르면 메가커피의 아메리카노는 18kcal이며 카페인은 193.13mg이 함유되어있다.


이디야 커피

레귤러(Regular) 384 ml의 경우 91mg, 엑스트라(Extra) 651 mg의 경우 196mg의 카페인이 함유되었다.


커피빈

레귤러(Regular) 473 ml의 경우 198mg의 카페인이 함유되었다.

 

빽다방

기본 420 ml의 사이즈와, 946ml의 빽사이즈를 선택할 수있는데 기본 사이즈에는 237mg, 빽사이즈에는 474 mg의 카페인이 함유되었다.

 

할리스커피

레귤러(Regular) 354 ml의 경우 114mg의 카페인이 함유되었다.

 

파스쿠찌

레귤러(Regular) 385 ml의 경우 196mg의 카페인이 함유되었다.

 

폴바셋

스탠다드(Standard) 360 ml 의 경우 137mg의 카페인이 함유되었다.

 

엔제리너스

스몰(Small) 355 ml 의 경우 209.86 mg의 카페인이 함유되었다.

카페인 권장 일일 섭취량

식약처는 카페인의 지나친 섭취로 인해 수면장애, 불안감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카페인 최대 일일섭취권고량을 성인의 경우 400mg 이하, 임산부는 300mg 이하, 어린이‧청소년은 체중 1kg당 2.5mg 이하로 설정해 관리 중이다.

연령별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성인(만19세 이상) 78.0mg, 청소년(만13~18세) 16.2mg, 어린이(만7~12세) 5.4mg, 미취학 어린이(만1∼6세) 1.6mg으로 카페인 최대 일일섭취권고량 대비 각각 19.8%, 11.3%, 6.2%, 3.7% 수준이었다.

 

카페인 섭취의 주요 기여 식품으로는 성인의 경우 액상커피(커피전문점 포함), 청소년‧초등학생‧미취학 어린이는 탄산음료로 나타났다.

성인의 경우 액상커피를 통한 카페인 섭취가 44%, 청소년은 탄산음료가 50%, 초등학생은 탄산음료가 60%, 미취학 어린이는 탄산음료가 41%의 비중을 차지했다.

 

카페인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커피 한 잔의 카페인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커피 원두의 종류다. 커피 식물의 종류는 다양하고, 식물의 원두는 카페인 함량이 다양하다. 커피콩 생산에 가장 인기 있는 두 종류의 식물은 다음과 같다.

 

  • 사람들이 흔히 아라비카라고 부르는 Coffea arabica
  • 대부분의 사람들이 로부스타로 알고 있는 Coffea canephora

2016년 연구에 따르면 로부스타 커피 원두는 일반적으로 아라비카 원두보다 약 2배 많은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연구진은 아라비카 원두가 건조된 커피(kg)당 34.1~38.5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반면 로부스타 원두는 건조된 커피(kg)당 68.6~81.6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커피 한 잔의 카페인 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로스트의 종류
  • 추출 방법
  • 추출 과정 중에 사람이 사용하는 분쇄 커피의 양
  • 서빙 사이즈

 

다른 카페인 공급원

비록 커피가 카페인의 가장 인기 있는 공급원이지만, 다른 많은 음식들과 음료들 또한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차는 다양한 양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지만, 그 양은 보통 비슷한 크기의 커피보다 적다. 예를 들어, 230ml(8온스)의 녹차는 28m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반면, 같은 양의 홍차는 약 47m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청량음료

탄산음료와 과일맛 음료와 같은 탄산음료도 카페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340ml(12온스)의 콜라 캔은 약 33m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에너지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는 종종 매우 많은 양의 카페인과 설탕을 함유하고 있다. 이 카페인은 합성 또는 구아라나 잎과 같은 천연 소스에서 추출할 수 있다.

핫식스

 

국내에서 시중에서 쉽게 구매할 수있는 에너지 드링크의 카페인 함유량은 다음과 같다.

  • 몬스터 : 100ml 당 36mg으로 일반적으로 355ml 캔은 127.8mg의 카페인을 함유한다.
  • 레드불 : 100ml 당 30mg으로 일반적으로 355ml 캔은 100.5mg의 카페인을 함유한다.
  • 핫식스 : 다양한 맛이있고 조금씩 다르지만 핫식스 355ml 캔을 기준으로 86mg의 카페인을 함유한다.

 

초콜릿

초콜릿에는 자연적으로 카페인이 들어있지만 초콜릿의 카카오 함량에 따라 양이 달라진다. 다크 초콜릿은 일반적으로 라이터나 밀크 초콜릿보다 더 많은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초콜릿 1온스(28.3g)의 카페인 함량은 다음과 같다.

  • 45–59% 카카오 고형분: 12mg함유
  • 60~69% 카카오 고형분: 24mg함유
  • 70~85% 카카오 고형분: 23mg함유

 

반응형